쏘블리의 공부방
부자가 되기 위한 중요한요소 3가지 본문
> 오늘의 영상
억만장자, 앤드류 테이트
킥복싱 세계챔피언이었던 그는 억만장자 반열에 오르게 된다. 무엇이 그를 억만장자로 만들었을까? 그는 부자가 되기 위해 중요한 3가지에 대해 말한다.
1. 주의를 기울여라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세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는 정부, 은행이 아니므로 돈을 '만들 수'는 없다. 돈을 많이 갖기 위해서는 누군가로부터 돈을 가져와야 한다. 여기서 생각해 보자. 커피를 사러 카페에 갔을 때, 주의를 기울이고 생각 해봐라. 나 자신에게 물어보자. 내가 왜 하필 이 카페에서 커피를 사고 있는가? 여기는 왜 이렇게 줄이 길까? 많고 많은 카페 중에 왜 여기를 택했을까? 여기 사장님은 왜 이쁘고 잘생긴 알바생을 쓰지 않는 걸까? 여기 줄 서있는 사람들은 회사원일까 사장일까?
돈을 쓸때마다 생각을 해야 한다. 여기서는 무엇을 팔고있고 무엇을 팔고있지 않은지. 내가 나의 돈을 '기꺼이' 쓰면서 왜 그런 행동을 하고 있는지, 나의 행동 하나하나에 이유를 찾아보고 의미를 부여해라. 내가 그들보다 더 잘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내가 세상에 제공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생각 해보자. 그는 말한다. 본인이 가난했을 때는 세상이 모두 처참했다. 모두 다 어렵다고 외쳤고, 모두 돈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부자가 되어 세상을 바라보니, 세상에 돈을 흘러넘친다. 돈이 많은 사람은 너무나도 많다. 본인이 원하는 요트를 사기 위해서는 6년을 기다려야 한다. 어느 나라를 가든 돈은 널려있다. 관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라.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이면 주변에 돈이 널려있다.
2. 네트워킹
돈이 있는 사람을 모르면 돈을 벌기 어렵다.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가난하다면 나도 가난해질 가능성이 높다. 내 주변에 백만장자, 억만장자가 가득하다면 나 역시 그들과 같아질 확률이 높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파는 사장님 100명이 있는 방에 내가 있다고 생각 해보자. 그들은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법, 광고하는 법, 파는 법, 아이스크림의 종류 등을 하루종일 계속 얘기할 것이다. 그러다가 그 방을 나와서 누군가가 나에게 피스타치오 아이스크림에 대해 물어본다면, 나는 의도하지 않았지만 그 아이스크림의 특징, 맛있게 만드는 곳 등등을 읊고 있을 것이다.
백만장자와 어울리다 보면 나도 그렇게 된다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이다. 앤드류는 본인이 연락하는 모든 사람은 부자이고, 열정적이고, 긍정적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은 사람과는 연락 할 리도, 시간도 없다. 그들은 그들끼리 지내면서 좋은 기운을 만들고 부의 기운을 생성한다. 그렇게 부자는 부자끼리, 가난한 자는 가난한 자들끼리 어울리게 된다. 무서운 현실이다.
3. 지금까지 원하는 만큼의 돈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 하기
1) 게으름
우린 모두 경쟁 속에 살고 있다. 돈을 많이 벌려면 그에 마땅한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을 빠르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누군가는 얘기할 것이다. '나는 열심히 일하고 있어요. 절대 게으르지 않아요. 하루에 8시간이나 일하는걸요?'. 앤드류는 코웃음을 친다. 부자들은 일어나자마자 핸드폰을 확인해서 일하고, 걸어가면서 일하고, 일하는 중간에 운동하러 갔다가, 밥먹고 다시 일하고 잠든다. 그리고 일하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 절대 게으름을 부리지 않는다. 그럴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2) 멍청함
대부분의 사람들은 멍청하지 않다. 대부분 아이큐가 평균 이상이다. 여기서 멍청하다는 것은 노예 마인드를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다. 세상이 만들어 놓은 룰을 철저히 잘 따르고 있는 사람일 뿐이다. 미디어에서 말하는 모든 것들은 그들의 이익을 위해서 사람들을 가난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빚을 내서 대학을 가라 > 졸업하면 취직해라 > 담보대출을 받아 집을 사라 > 60살까지 빚을 갚으면, 그 이후는 즐길 만큼의 연금을 보장 해주겠다. ' 이렇게 사회에서 정해놓은 룰을 따라 사는 것은 그들이 만들어 놓은 챗바퀴 안에 있는 것과 다름 없다. 그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으며, 그들이 주는 먹이를 먹고, 챗바퀴 안에서 열심히 달리기를 한다.
사회는 사람들이 부자가 되길 원하지 않는다. 부자가 되면 사람들이 사회의 말을 듣지 않기 때문이다. 돈을 벌고 싶다면 이 멍청함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3) 오만함, 거만함
절대적으로 오만함과 거만함은 부를 멀리한다. 백만장자, 억만장자가 내 앞에서 연설을 하는데 내가 감히 어디를 가겠는가? 절대로 내가 다 안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그렇게 말하는 순간, 파산의 시작이다.
나는 세상에 너무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살아왔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도 주변을 보지 않는 스타일이었고, 심지어 이어폰으로 귀까지 막는다. 이렇게 몸에 배인 습관을 바꾸기란 쉽지 않지만, 천천히 바꿔보자. 주변을 많이 둘러보고 '왜?' 라는 퀘스쳔마크를 달고 살자.
멍청함으로부터 빨리 벗어나자. 부자의 마인드를 늘 공부하고 받아들이면서도, 나는 항상 가난한 자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세상의 룰에서 벗어나면 큰 일이라도 나는 것처럼 지레 겁을 먹었다. 현실이 죽을 만큼 고통스러웠음에도 그 챗바퀴에서 나오는 대담함을 갖지 못했다. 내가 원하는 만큼의 부를 이루자. 된다. 될때까지 한다.
'마인드 mindset (동기부여 포스팅 서바이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y not me? (나라고 왜 안돼?) (6) | 2023.04.09 |
---|---|
뇌 근력 강화하는 방법 (1) | 2023.04.08 |
가치관이 맞는 사람 (0) | 2023.04.06 |
목표는 높게, 더 높게. (0) | 2023.04.05 |
잠재의식의 힘 (0) | 2023.04.04 |